본문 바로가기

항해일지171

건폐율 VS 용적률의 정의와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항해하는 부동산입니다. 다가구 VS 다세대 정의와 차이점은?! 민영주택 VS 국민주택 정의와 1순위 청약조건은?! 역전세 VS 깡통전세 정의와 차이점은?! 오늘은 건폐율과 용적률의 정의와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동산을 조금 공부해 보신 분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보셨을 용어인데요. 헷갈리기 쉬운 이 용어들은 재건축을 위한 건물을 매입할 때, 기타 잠재력을 측정할 때 등등 많이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이 두 용어, 헷갈리지 않도록 오늘 완벽히 숙지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자 그럼 먼저 건폐율과 용적률의 정의와 차이점을 살펴보겠습니다. 1. 건폐율 건폐율은 대지면적에 대한 건물면적의 비율을 뜻합니다. 만약 대지면적이 100평이고 건물면적이 50평이라면 건폐율은 50%라고 할 수 있죠. 이해하기 .. 2023. 5. 9.
2023년 주택담보대출 : LTV,DTI,DSR의 정의와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항해하는 부동산입니다. 오늘은 부동산 매수를 위해 대출받기 전 꼭 알아야 하는 LTV, DTI, DSR의 정의와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동산을 투자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는 현장조사, 시세파악, 출구전략, 매매전략 등 다양한 것들이 있죠. 이 중 내가 주택을 매수할 능력, 즉 구매력을 사전에 파악하는 일도 매우 중요한 사전작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구매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자본금이 얼마인지, 내가 구매하려는 주택의 금액이 얼마고 내가 은행에서 대출받을 수 있는 금액이 얼마인지 알아야겠죠. 이때 은행에서 대출을 받기 위해 알아야 하는 용어가 바로 이 LTV, DTI, DSR입니다. 다들 이 용어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텐데요. .. 2023. 5. 8.
재건축 VS 재개발의 정의와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항해하는 부동산입니다. 오늘은 재건축과 재개발의 정의와 차이점이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부동산에 투자를 할 때 시세차익 및 수익형을 기대하기도 하지만 바로 이 재건축 및 재개발 호재를 보고 투자하기도 합니다. 그만큼 부동산 투자에 있어서 재건축과 재개발은 아주 큰 호재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비슷해 보이는 재건축과 재개발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재건축과 재개발의 정의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1. 재건축 재건축은 기존 토지 소유자들이 조합을 결성해 주택, 아파트 등 각종 기존에 있던 각종 노후 건축물을 허물고 다시 짓는 행위를 말합니다. 보통 재건축 과정은 추진위 구성을 시초로 하여, 행위허가·조합설립인가 등의 절차를 거친 다음 다시 사업시행인가를 하게 되면 사업승인을 하게 되죠... 2023. 5. 7.
국민주택 VS 민영주택의 차이와 청약 1순위 조건은?! 안녕하세요. 항해하는 부동산입니다. 오늘은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의 의미와 청약 시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다들 주택청약통장 들고 계신가요? 이 통장이 있어야 분양권이 나오는 신축 아파트에 청약을 넣어서 매수할 수 있습니다. 저는 성인이 되자마자 청약통장을 개설해서 지금까지 꾸준히 매월 어느 정도의 금액을 납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막상 청약을 하려고 마음을 먹고 실행에 옮기게 되면 이것저것 모르는 것이 아주 많이 있죠. 그중 내가 청약을 넣으려는 주택이 국민주택인지 혹은 민영주택인지에 따라 청약 1순위 조건이 달라진다는 것도 있습니다. 오늘은 바로 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의 정의부터 알아볼까요? 1. 국민주택 국민주택이란 국가, 지방 자치 단체, LH 공사 등에서 짓거나 주.. 2023. 5. 6.
다가구 주택 VS 다세대 주택의 정의와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항해하는 부동산입니다. 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다가구 주택과 다세대 주택의 정의와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가구 주택과 다세대 주택. 말로는 많이 들어봤는데 정확한 정의를 물어보면 대답하기가 쉽지 않죠. 1. 다가구 주택 단독 주택의 한 종류입니다. 단독 주택이니 당연히 소유는 1명만 하고 있어야겠죠? 세대별로 주방 및 화장실이 따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건물의 총 바닥 면적은 660m² 이하, 3층 이하 입니다. 19 가구 이하로 구성됩니다. 투자 시 환금성이 떨어집니다. 2. 다세대 주택 공동 주택의 한 종류입니다. 공통주택이니 호수별 구분 소유가 가능하죠.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말 그대로 다세대입니다. 건물의 총 바닥 면적은 660m² 이하, 4층 이하 입니다. 19 가구 이하로 구성.. 2023. 5. 5.

ca-pub-5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