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항해하는 부동산입니다.
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다가구 주택과 다세대 주택의 정의와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가구 주택과 다세대 주택. 말로는 많이 들어봤는데 정확한 정의를 물어보면 대답하기가 쉽지 않죠.
1. 다가구 주택
단독 주택의 한 종류입니다. 단독 주택이니 당연히 소유는 1명만 하고 있어야겠죠? 세대별로 주방 및 화장실이 따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건물의 총 바닥 면적은 660m² 이하, 3층 이하 입니다. 19 가구 이하로 구성됩니다. 투자 시 환금성이 떨어집니다.
2. 다세대 주택
공동 주택의 한 종류입니다. 공통주택이니 호수별 구분 소유가 가능하죠.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말 그대로 다세대입니다. 건물의 총 바닥 면적은 660m² 이하, 4층 이하 입니다. 19 가구 이하로 구성됩니다. 건물의 층수 빼고는 다가구 주택과 동일하네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빌라가 바로 이 다세대 주택에 해당합니다. 연립주택도 이 다세대 주택의 한 종류입니다. 투자 시 환금성은 높습니다.
이렇게 다가구 주택과 다세대 주택의 차이점과 정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 둘의 가장 큰 차이점은 단독 등기가 가능하냐 혹은 불가능하냐, 즉 단독주택이냐 공동주택이냐 인 것 같네요. 다들 투자하시기 전에 어디에 투자하실 지 확실히 정하셔서 항상 이기는 투자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부동산 항해일지 >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건축 VS 재개발의 정의와 차이점은?! (30) | 2023.05.07 |
---|---|
국민주택 VS 민영주택의 차이와 청약 1순위 조건은?! (17) | 2023.05.06 |
부동산 투자 타이밍(집값 상승 시그널) (18) | 2023.05.04 |
아파트 매매 투자 방법 (38) | 2023.05.03 |
부동산 공인중개사 대하는 노하우(부동산 임장 팁) (42) | 2023.05.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