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항해일지/부동산 공부

2023년 주택담보대출 : LTV,DTI,DSR의 정의와 차이점은?!

by 항해하는 부동산 2023. 5. 8.

안녕하세요. 항해하는 부동산입니다.

 

오늘은 부동산 매수를 위해 대출받기 전 꼭 알아야 하는 LTV, DTI, DSR의 정의와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동산을 투자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는 현장조사, 시세파악, 출구전략, 매매전략 등 다양한 것들이 있죠. 이 중 내가 주택을 매수할 능력, 즉 구매력을 사전에 파악하는 일도 매우 중요한 사전작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구매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자본금이 얼마인지, 내가 구매하려는 주택의 금액이 얼마고 내가 은행에서 대출받을 수 있는 금액이 얼마인지 알아야겠죠.

이때 은행에서 대출을 받기 위해 알아야 하는 용어가 바로 이 LTV, DTI, DSR입니다. 다들 이 용어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텐데요. 이것들의 정의와 차이점이 뭔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1. LTV(Loan To Value ratio)

주택의 가치 대비 대출 금액 비율을 뜻합니다. 쉽게 말해서 '주택 가격 대비 대출을 몇 프로 받을 수 있냐' 하는 지표 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LTV는 50%입니다. 우리나라 LTV는 상당히 낮은 편이죠. 여기서 주택 가격은 kb부동산 시세, 감정평가액, 국세청 기준 시가 등이 사용됩니다.

 

[예시]
LTV 50% 일 때 
주택 가격 10억 => 대출 가능 금액 5억

 

2. DTI(Debt To Income)

DTI는 나의 총 소득에서 대출을 갚는데 몇 프로나 사용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시]
연소득 1억, DTI 40% 일 때
-대출 원금 + 이자 상환액이 연간 4천만 원 넘지 않도록 대출
-만기 30년, 이율 3.5%라면 최대 약 7억 대출 가능
-연봉 1천만원 당 약 7천만 원 대출 가능(금리가 높아지면 대출금은 낮아지겠죠?)

3. DSR(Debt Service Ratio)

총부채 원리금 상환 비율이라는 뜻입니다. 이렇게 들으니 좀 어렵게 느껴지시죠? 쉽게 말해서 나의 연소득 대비 부채의 상환 비율입니다. DTI와 유사한 개념이라서 헷갈리실 수 있는데요. 가장 큰 차이점은 이 DSR은 주택담보대출뿐만 아니라 기타 모든 대출에 대한 원리금 상환 비율을 포함한다는 점 입니다.  이 말은 즉 DSR은 DTI보다 주택담보대출 기준에 있어서 보수적이라는 말이 되겠죠. DSR기준으로 주택담보대출을 실시하면 대출이 더 적게 나온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LTV, DTI, DSR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2023년 기준 주택담보대출 규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LTV

2023년에는 50%로 통일 됐습니다. 단 비규제 지역은 60%, 생애 최초 구입은 9억 이하의 주택에 대해 80%까지 적용됩니다. 다주택자의 경우 30%가 적용됩니다.

 

2. DTI

-투기지역 40%(강남, 서초, 용산, 송파)

-조정대상지역 50% 그 외 60%입니다.

 

3. DSR

40%가 적용됩니다.

 

오늘은 이렇게 주택담보대출에 관한 용어의 정의와 2023년 기준 적용받는 퍼센트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주택을 매수하기 전 꼭 자신의 구매력을 파악하셔서 이기는 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ca-pub-5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