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해일지171

부동산 임장 노하우(임장 체크리스트) 안녕하세요 항해하는 부동산입니다. 집을 사기 위해서, 그리고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현장조사와 시세조사가 필수입니다. 이를 통틀어서 임장이라고 하죠? 이 임장에도 다 노하우가 있습니다. 임장을 가서 무엇을 봐야 하는지, 어느 시간에 임장을 가야 하는지 등등 미리 알고 가면 한번 임장을 가더라도 제대로 현장을 파악할 수 있을 겁니다. 오늘은 이 부동산 임장을 하는 노하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임장 노하우] 1. 지도를 출력해서 현장에서 우왕좌왕하지 않도록 동선을 미리 파악한다 요새는 핸드폰 지도 앱이 워낙 잘돼있죠? 임장을 갈 땐 한 군데만 둘러봐도 좋지만 여러 군데 물건을 정해두고 효율적인 동선을 짜면 시간낭비 없이 임장을 할 수 있습니다. 2.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해당 물건에 대.. 2023. 4. 29.
역전세 VS 깡통전세 안녕하세요 항해하는 부동산입니다. 오늘은 역전세와 깡통전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역전세 역전세는 전셋값이 처음에 세입자가 계약했던 전셋값보다 낮아져서 집주인이 전셋값을 낮추지 않는 이상 새로운 세입자를 구하기 어려운 상황을 뜻합니다. 그러면 기존의 세입자가 전세금을 돌려달라고 하면 집주인은 대출을 받거나 기타 방법으로 자금을 조달하여 전세금을 돌려줘야 합니다. 역전세라는 말 자체가 세입자에게 피해가 되는지 아닌지에 대한 것과는 무관합니다. 다만 역전세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 바로 깡통전세입니다. 2. 깡통전세 요새 '전세사기'라는 말이 많이 들리죠? 전세사기는 이 깡통전세로 인해 세입자가 전세보증금을 받지 못하는 상황을 말하는데요. 깡통전세는 집값이 전세 보증금 이하로 하락하거나, 집주인이.. 2023. 4. 28.
임의경매 & 강제경매란? (가압류의 정의, 경매 취하) 안녕하세요 항해하는 부동산입니다. 오늘은 임의경매와 강제경매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경매 물건의 정보지에 보면 이 물건이 임의경매를 통해 올라왔는지 아니면 강제경매를 통해 올라왔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임의경매는 뭐고 강제경매는 뭘까요? 1. 임의경매 채권자가 누구의 허락도 없이 해당 담보물에 대해 경매 신청을 하게 되면 임의경매라고 부릅니다. 여기서 경매를 신청할 수 있는 권리는(근) 저당권, 전세권 등이 있습니다. 임의 경매의 경우 낙찰자의 동의서가 없어도 채권자가 취하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채무자에게 '경매 취하 동의서'를 써주고 수고비를 받으면 됩니다. 보통 수고비는 500만원 이하입니다. 2. 강제경매 반면에 법원의 소송을 통해 채권자가 채무자를 상대로 승소 판결을 받은 후.. 2023. 4. 27.
부동산 경매란? (경매의 기본 절차) 안녕하세요 항해하는 부동산입니다. 요새 들어서 부동산 경매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죠? 부동산의 도매시장이라고 불리는 경매는 부동산 상승기에도, 하락기이도 통하는 투자법이기 때문에 많은 분들에게 사랑을 받고있지 않나 싶습니다. 부동산 경매는 특히 지금과 같은 부동산 불장에 빛을 발하는데요. 그 이유는 좋은 매물이 많이 나오고 경쟁률이 낮기 때문이죠. 한 개인이 채무액을 갚지 못해 채권자가 채무자의 부동산을 담보로 법원에 경매를 신청을 하게 되면 해당 물건은 경매에 올라오게 됩니다. 그렇게 경매로 팔린 대금으로 채권자의 돈을 갚아주고 부동산을 낙찰자에게 이전하게 되죠. 개인의 채무와 금전 등이 막혀있지 않게 잘 흘러가도록 해주는 것이 바로 경매의 순기능 중 하나입니다. 부동산이 경매에 올라오는 과정을 간.. 2023. 4. 26.
부동산 투자 하기 전 체크리스트 안녕하세요 항해하는 부동산입니다. 부동산에 투자하기 전에 기본적으로 체크해야 하는 사항들이 있습니다. 부동산은 주식과 달리 가격 변동이 느리고 금액 단위도 아주 큽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동산을 매매할 때에는 그전에 여러 가지 지표들을 체크해 보고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지피지기면 백전불패라고 했나요. 부동산 매매를 하기 전 많은 조사를 통해 이기는 투자를 하면 좋겠습니다. 부동산에 투자하기 전 체크해야 하는 지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아파트 미분양률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어서 아파트를 분양해도 사람들이 잘 사지 않는다면 미분양률이 올라갈 겁니다. 다시 말해 아파트 미분양률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부동산 수요가 적다는 뜻이겠죠.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3년 2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이 .. 2023. 4. 26.

ca-pub-5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