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항해하는 부동산입니다. 요새 경매물건의 입찰전략 글에만 몰두하다 보니 오랜만에 부동산 공부와 관련된 글을 쓰는 것 같네요.(다양한 경매물건의 입찰전략 보러 가기!)
오늘은 생애 최초로 주택을 구매하게 되면 받을 수 있는 혜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들이 만약 인생에서 처음으로 주택을 구매하게 된다면 해당 주택을 구매할 때 내야 하는 취득세를 감면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이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 혜택 총정리
1.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 혜택 내용
해당 내용은 2023년 3월 14일부터 시행된 제도로, 생애최초로 주택을 취득했을 때 해당 주택에 대한 취득세를 200만 원 한도 내에서 감면해 주는 내용입니다.
다만 여기서 중요한 점이 있습니다. 취득한 주택의 실거래가가 12억 이하여야 합니다.
즉, 실거래가가 12억 이하인 주택을 구매했을 때 취득세를 200만 원 한도로 감면해주고 있습니다.
생애최초 취득세 소급 적용
여기서 또 중요하게 볼 점은 소급적용 일자입니다. 2022년 6월 21일부터 소급적용이 적용되어 이후에 주택을 구매하여 취득세를 납부한 분들께서는 만약 생애최초로 해당 주택을 구매하셨다면 취득세 200만 원 감면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취득세 감면 신청 하는 법
취득세 감면은 자동으로 신청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찾아가서 신청을 해야 합니다. 200만 원 감면이면 엄청난 혜택이니 귀찮아하시지 마시고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신청방법은 취득세 신고를 한 지자체의 시, 군청 등의 세무과에 가서 환급신청서를 작성하셔야 합니다.
생애최초 주택 구매 인증서류
취득세 감면 혜택을 받기 위해서 본인이 주택을 생애최초로 구매했다는 사실을 증명해야 합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내가 무주택자임이었음을 보여주기 위해서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등을 제출해야 합니다.
3. 취득세 감면 혜택 유지 조건
내가 생애최초로 주택 구매로 취득세 감면 혜택을 받았으면 그걸로 끝이 아닙니다. 일정 기간 동안 여러 가지 조건들을 만족해야 하는데요. 해당 조건들을 알아보겠습니다.
ㄱ. 주택보유 경험이 전무
본인 및 배우자 모두가 주택보유 경험이 없어야 합니다.
다만 아래와 같은 경우는 예외입니다.
-상속주택 지분을 보유했으나 처분한 경우
-비도시지역의 20년 초과나 85M2 이하 단독주택, 상속주택에 거주하다가 처분 한 경우
-시가표준 100만 원 이하 주택을 보유하고 처분한 경우
ㄴ. 실거주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 혜택은 실거주자를 위한 것이기 때문에 취득세 감면 후 3개월 안에 입주해야 합니다.
ㄷ. 보유 기준
취득 후 3년이 이내에 해당 주택을 매각, 증여, 임대 등 용도를 변경해서 사용하게 된다면 감면받은 세액에다가 가산세를 추가로 추징당할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합니다.
4. 취득세란?
취득세란 말 그대로 주택을 취득했을 때 내는 세금을 말합니다. 취득세율은 해당 지역이 조정지역인지, 비규제지역인지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주택 매매 시 미리 확인을 해보아야 합니다.
오늘은 생애최초로 주택 매수 시 얻을 수 있는 취득세 감면 혜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 더 다양한 부동산 공부 관련된 내용을 올려야겠습니다!!
항해사가 추천하는 다양한 경매물건의 입찰전략 보러 가기!
'부동산 항해일지 >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의경매 VS 강제경매 차이점 (가압류, 경매 취하) (1) | 2024.02.06 |
---|---|
재개발 재건축 절차 및 기간 총정리 (4) | 2023.11.13 |
대지면적 VS 건축면적 VS 바닥면적 VS 연면적 정의와 차이점은?! (9) | 2023.05.20 |
건폐율 VS 용적률의 정의와 차이점은?! (22) | 2023.05.09 |
2023년 주택담보대출 : LTV,DTI,DSR의 정의와 차이점은?! (16) | 2023.05.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