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제경매2

임의경매 VS 강제경매 차이점 (가압류, 경매 취하) 안녕하세요 항해하는 부동산입니다. 오늘은 많이 헷갈리실 수 있는 임의경매와 강제경매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경매에 참여함에 있어 해당 물건이 임의경매인지 강제경매인지는 큰 의미가 없습니다만 의미를 알고 있으면 더 보는 눈이 넓어지겠죠? 임의경매 VS 강제경매 그렇다면 임의경매는 뭐고 강제경매는 뭘까요? 임의 경매 채권자가 누구의 허락도 없이 해당 담보물에 대해 경매 신청을 하게 되면 임의경매라고 부릅니다. 여기서 경매를 신청할 수 있는 권리는 (근) 저당권, 전세권 등이 있습니다. 임의 경매의 경우 낙찰자의 동의서가 없어도 채권자가 취하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채무자에게 '경매 취하 동의서'를 써주고 수고비를 받으면 됩니다. 보통 수고비는 500만 원 이하입니다. 강제 경매 강제경매는 .. 2024. 2. 6.
임의경매 & 강제경매란? (가압류의 정의, 경매 취하) 안녕하세요 항해하는 부동산입니다. 오늘은 임의경매와 강제경매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경매 물건의 정보지에 보면 이 물건이 임의경매를 통해 올라왔는지 아니면 강제경매를 통해 올라왔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임의경매는 뭐고 강제경매는 뭘까요? 1. 임의경매 채권자가 누구의 허락도 없이 해당 담보물에 대해 경매 신청을 하게 되면 임의경매라고 부릅니다. 여기서 경매를 신청할 수 있는 권리는(근) 저당권, 전세권 등이 있습니다. 임의 경매의 경우 낙찰자의 동의서가 없어도 채권자가 취하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채무자에게 '경매 취하 동의서'를 써주고 수고비를 받으면 됩니다. 보통 수고비는 500만원 이하입니다. 2. 강제경매 반면에 법원의 소송을 통해 채권자가 채무자를 상대로 승소 판결을 받은 후.. 2023. 4. 27.

ca-pub-5348